(미드) 영 셸든 시즌1 - 1화 영어 표현
이번 포스팅 에서는 빅뱅 이론의 영 셸든 시즌1 1화에 나오는 영어 표현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표현의 맥락을 서술하다보니 내용의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원하지 않는 분은 뒤로가기를 눌러 주세요!)
#1 저녁 식사 장면
셸든의 가족이 모여 저녁 식사를 하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가족들은 저녁 식사를 하기 전에 앞서 함께 손을 맞잡고 기도를 하는데요. 이 때, 셸든은 가족들과 직접 손을 잡고싶지 않아 장갑을 낍니다. 이 장면에서의 몇가지 표현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메리: (장갑을 끼는 셸든의 모습을 보습을 보며 아버지인 조지 쿠퍼가 한숨을 쉬자 노려보며) (1) Let him be. (내버려 둬.)
조지: He can hold hands with his family. It won't kill him. (가족끼리 손 좀 잡는 다고 안죽어.)
셸든: We don't know that. (모르죠.) (형인 조지 쿠퍼 주니어에게) George, did you wash your hands before dinner? or even this week?
조지 주니어: (2) None of your business (상관하지마.)
셸든: (3) Hence the mittens. (이러니 장갑을 끼죠.)
(1) Let him be: 이 대화에서는 내버려 두란 뜻으로 쓰였습니다. "Let someone be"에 대해 사전적으로는 "to stop criticizing or annoying someone"이라고 정의가 됩니다. 우리말로 의역하면 "뭐라하지 말고 냅둬"라는 뜻이겠네요.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 두란 비틀즈의 명곡 "Let it be"도 떠오릅니다.
(2) (It's) None of your business: 신경 쓰지말라는 뜻으로, 누군가 귀찮게 할 때 쓸 수 있는 표현이겠죠?
(3) Hence (that is why I am wearing) the mittens: "Mittens"는 장갑을 뜻합니다. 중요한 것은 앞에 나온 "Hence"라는 단어인데요. "이러한 이유로" 혹은 "그러므로"란 뜻을 갖고 있습니다. 격식있는 글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원인에 대해 결과 문장을 잇기 위해 쓰이기도 하는 단어입니다. 여기서는 "이러니까 장갑을 끼죠"라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2 빌리와의 대화 장면
집 앞 마당에서 이웃 친구인 빌리 스파크스와 대화장면입니다.
빌리: I heard you're going to high school tomorrow. (너 내일 고등학교 간다며?)
셸든: I am. You're going to have to find someone else to (4) torment on the playground. (맞아. 너 놀이터에서 괴롭힐 다른 사람 찾아야 할거야.)
빌리: Torment?
셸든: (한숨을 쉬며) (5) It means to maliciously harass. (악의를 갖고 괴롭힌다는 것을 뜻해.)
(4) torment: (특히 정신적으로) 누군가를 괴롭힌다는 뜻입니다. 동사로는 "괴롭히다" 혹은 "학대하다"라는 뜻이 있으며, 명사로는 "고통", "고뇌" 혹은 "고통을 안겨주는 사람"을 뜻합니다. 9살 아이가 쓰기엔 상당히 격식있는 표현이죠. 때문에 빌리는 단어의 뜻을 이해하지 못해 되묻습니다.
(5) It means to maliciously harass: 그러자 셸든이 설명합니다. "It means ~"는 ~를 뜻한다라는 표현으로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 "malciously"는 "malcious (악의적인)"의 부사로 "악의를 갖고"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harass"는 "괴롭히다"란 뜻으로, 명사형은 "harassment"가 있습니다. 인종 차별적 괴롭힘을 "racial harassment"라 하며, 성희롱을 "sexual harassment"라고 표현합니다.
똑똑한 셸든은 9살 아이가 사용하기엔 꽤나 어려운 용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어려운 설명에 대해, 이웃 친구인 빌리는 셸든의 설명을 이해하지 못합니다. 마지막에 들린 "harass"에 대한 빌리의 다음 대답이 유머 포인트로 작용하는 장면입니다. 우리말로 해석했을 때에는 이해할 수 없는 유머이죠.
#3 셸든의 고등학교 첫 등교를 준비하는 장면
셸든의 첫 등교에 나비 넥타이(Bowtie)를 하고 나가기 위해 정신없이 찾는 장면이 나옵니다.
조지: Leave it alone, Mary. He doesn't need a bowtie. (Mary 냅 둬. 걔한테 타이는 필요없어.)
메리: It's his first day of school. (6) Let him wear what he wants. (등교 첫날인데 입고 싶은게 입게 냅둬.)
...
(메리가 셸든의 방을 찾아가서)
...
셸든: I have to find my tie! (타이를 찾아야 해요!)
메리 셸든: (7) Be right back (금방 다시 올게)
...
(메리가 형인 조지 주니어를 범인으로 의심하고 추궁하는데, 마지막에 셸든의 쌍둥이 동생인 미시가 이렇게 말을 하죠.)
...
미시: (조지 주니어에게) (8) You are having not a good day. (너 오늘 일진이 안좋네.)
(6) Let him wear what he wants: (1)과 비슷하게 Let을 이용한 표현입니다. 여기서는 "걔가 입고 싶은 것을 입게 해줘"라는 뜻으로 사용했는데, 같은 구조를 응용하면 다양한 표현을 만들 수 있습니다.
(7) (I'll) Be right back: 금방 올게라는 뜻입니다. 일상에서 "금방 다시 올게"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요. 구체적으로 "몇 분안에 다시 오겠다"라고 표현을 하고 싶다면, I'll be back in thirty miniutes 와 같이 뒤에 시간을 붙여주시면 됩니다.
(8) You are having not a good day: 주변의 누군가에게 안좋은 일이 겹치는 이상한 날이 있습니다. 그럴 때 "너 오늘 일진이 안좋네"라고 말하기도 하는데요. 이에 대한 영어 표현입니다. 물론 "그렇지만 힘 내"라는 의미의 "Cheear up", "Don't be sad" "Keep your cheen up"과 같은 위로의 말을 덧붙여 주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4 등교 첫날
(타이를 하고 셸든은 엄마와 함께 학교에 옵니다. 그런데 학생들의 복장이 생각보다 굉장히 자유롭습니다.)
셸든: That boy has an exposed tattoo. (9) I wonder if he knows that's in violation of the dress code. (쟤는 문신을 했어. 저게 복장 규정이라는 것을 알까?)
메리: (10) Speaking of which, how about we lose the bowtie? (말이 나와서 하는 말인데, 보타이를 빼는 게 어때?)
셸든: Why? (왜요?)
메리: Look around, honey. None of the other kids are wearing one. (둘러봐. 다른 애들은 아무도 안했잖아.
...
셸든: (화장실을 나오며) Well, that was (11) revolting. (화장실이 더러워요.)
(9) I wonder if he knows that's in violation of the dress code: "I wonder" 하면 뭔가 궁금하다란 뜻이죠. "violation"은 위반을 의미하며, "dress code"는 복장 규정을 의미합니다.
(10)Speaking of which: "which"는 앞에 나온 말을 받습니다. "말이 나와서 하는 말인데" 라는 뜻으로 "Speaking of which"란 표현이 자주 쓰입니다.
(11)revolting: "역겹다"란 뜻으로, 학교 화장실이 더럽다라는 뜻으로 셸든이 사용했습니다.
#5 교장실에서
(셸든은 결국 첫날부터 선생님들에게 찍히게 됩니다. 셸든의 부모님과 교사들이 교장실에 모여 셸든에 대해 얘기하는 장면이 나옵는데요. 선생님들의 성토대회가 열립니다.)
빅토리아 (영어 교사): This is a stupid idea. This boy does not belong in our school! (이건 말도 안돼요. 얘는 우리 학교에 어울리지 않아요.)
톰 (교장): Come on Vicky. It's just the first day. (12) Why don't we all just take a deep breath here? (첫날이잖아요. 진정하죠.)
빅토리아 (영어 교사): The hell with that? (진정하게 생겼어요?)
애벌린 (수학교사): Five minutes into my math class, he questioned my credentials. (내 수학 시간 5분 만에 제 자격을 물어봤어요.)
휴버트 (과학교사): (13) How am I supposed to control a classroom when a kid accuses me of being in breach of the hygiene code? (애가 저보고 위생 규정을 위반했다고 하는데 수업을 어떻게 진행합니까?)
톰 (교장): Well, Hubert, it wouldn't kill you to shower a little more often. George, (14) you want to weigh in here? (글쎄, 휴버트, 샤워좀 한다고 죽지 않잖아? 조지 한마디 할래요?)
조지: Well... (음 글쎄요)
...
휴버트: (15) He said I was intimidated by his intelligence, and then, he offered to be my leader. (제가 자기 지능에 위협을 느꼈다면서 제 지도자가 되어주겠다더군요.)
...
메리: It's a simple. We don't have a choice. (단순해요. 선택의 여지가 없어요)
톰: Well, (16) you gave it a shot. (그래도 시도는 해보셨겠네요.)
...
톰: Coach, can you help me out here, please? (17) Cause I am dyin'. (코치, 좀 도와줄래요? 아주 죽겠어요.)
조지: (18) I'd rather not. (전 빠질게요.)
(12) Why don't we all just take a deep breath here?: 직역을 하자면 "깊게 숨을 들이쉬는게 어떻겠냐"라는 뜻입니다. 누군가에게 "진정해"라고 말하고 싶을 때 건넬 수 있는 표현입니다.
(13) How am I supposed to control a classroom when a kid accuses me of being in breach of the hygiene code?: "accuse"라는 동사는 "혐의를 제기하다"란 뜻을 갖고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는 "a kid (셸든)"이 "me(휴버트)"에게 혐의를 제기했다는 뜻이겠죠. 그리고 그 뒤에 나오는 "being in breach of the hygiene code"가 혐의의 대상입니다. "breach"는 위반을 의미하며 "hygiene"이 위생이므로, "hygiene code"는 위생 규정을 의미합니다. (앞에서 dress code는 복장 규정을 의미했었죠.)
(14) you want to weigh in here?: "할 말 없어요?"라는 뜻으로 누군가에게 말을 유도할 때 쓰는 말입니다. (회의 시간에 자주 등장할 법(?)한 표현이 아닐까 싶네요.)
(15) He said I was intimidated by his intelligence, : "Intimidate"는 "겁을 주다" 혹은 "위협하다"란 뜻을 갖고 있습니다. "I was indimidated by (something)"하면 무언가에 의해 위협을 느꼈다란 뜻이겠죠.
(16) you gave it a shot: "give a shot"은 무언가를 시도 해보다란 뜻을 갖고 있습니다. "Give it a shot!" 하면 "한 번 시도해 봐!"란 뜻입니다.
(17) Can you help me out here, please? Cause I am dyin': 당연히 진짜 죽겠단 뜻은 아닙니다. "죽겠으니" 좀 도와달란 의미로 쓰였습니다.우리가 일상에서 "죽겠으니까 좀 도와줘"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18) I'd rather not: 톰이 무엇을 좀 말하라고 요청하자 조지가 "I'd rather not"이라 말하며 빠집니다. 무언가 하고 싶지 않을 때 쓸 수 있는 표현입니다.
이상 5장면의 회화에서 18개의 표현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